자료 : 문화관광과
지    명 현 위 치 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래
대덕산성 대명9동
○ 대덕산성은 대구지방에서 가장 험준한 산세에 축성한 산성으로써 대구분지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이다.
○ 이 산성은 말발굽 모양의 포곡형 산성이고 성벽은 대덕산 정상의 준령과 산기슭의 능선을 따라 쌓았으며, 그 둘레가 약 3,000m나 되고 건물터 주변의 기와조각이나 토기조각은 모두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던 종류이고 고려자기조각도 몇 점 있는 것으로 보아 대덕산성은 후삼국시대에 쌓아서 고려시대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.
용두토성 봉덕2동
○ 용두토성은 대구에서 청도로 가는 신천변 길목에 위치한 용머리처럼 이어진 산줄기에 쌓은 성으로 청도방향에서 침입하는 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.
○ 성 안에는 주변 일대를 살펴보고 경계를 할 수 있는 보루 2개와 사람들이 머무를 수 있는 평지가 있고, 발견된 기와와 토기편들로 보아 사람들이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. 조성연대는 보루 주변에서 발견된 유물로 보아 통일신라 말~고려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.
○ 성의 규모는 남북길이가 약443m, 너비21~126m, 둘레가 약981m이다.
왕    굴 대명6동
○ 태조 왕건이 장수로 있을 때 후백제 견훤의 난을 막으러 갔다가 팔공산 전투에서 대패하여 혼자서 비슬산으로 피난을 왔다고 한다. 은적사에서 3일 동안 피신해 있다가 왕굴에서 피신하여 쉬어갔다고 한다.
○ 피신 중 견휜의 부대가 근처에까지 와서 왕건을 찾으려고 하자 갑자기 운해가 가득하고, 왕거미줄이 쳐져서 크지 않은 굴인데도 사람이 피신했는지 안했는지 흔적조차 알 수 없었다고 한다.
그래서 무사히 그 난을 피하고 고려 창업을 위해서 기도정진할 수 있었다고 하여 왕굴이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