방문간호사가 보건소 이용 및 접근이 어려운 건강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포괄적으로 건강상태를 스크리닝하고 적합한 건강관리서비스(직접 방문, 유선 관리, 소 내외 연계 등)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자가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허약예방 등을 통한 건강수준을 향상을 도모코자 합니다.
기 간
연 중(무료)
대 상
건강관리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사회,문화,경제적 건강취약계층(건강위험군, 질환군) 및 65세 이상 독거노인 가구, 75세 이상 노인부부 가구 중심
건강취약계층(우선순위 고려 대상)
(연령 기준) 만65세 이상 노인
(경제적 기준) 기초생활보장수급자, 차상위계층 등
(사회적 특성) 독거노인, 다문화 가족, 한부모 가족, 조손가족, 북한이탈주민 등
(건강 특성) 관리되지 않는 만성질환자 및 만성질환 위험군, 장애인, 재가암환자 등 * 노인 장기요양등급 판정 결과, 1~5등급자는 서비스 제공 대상에서 제외 (단, 인지지원 등급자는 포함) * 지역사회 통합돌봄선도사업 지역에 한해 이용일시를 달리하는 경우 노인장기요양등급자에 대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(동 시간대 제공 불가)
방 법
대상자 건강상태에 따라 관리군을 분류하여 방문간호사가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제공
내 용
기본 건강관리: 건강스크리닝(혈압, 혈당, 콜레스테롤검사 등), 건강상담 및 교육 등
만성병관리 및 예방: 고혈압, 당뇨, 관절염, 뇌졸중, 치매 등 위험요인 파악, 건강상담 및 합병증 예방교육 및 관리 등
내외 보건자원 연계: 치매안심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, 노인 개안수술 지원, 무릎 인공관절수술, 노인돌봄서비스, 반찬서비스 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