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홈
- 생활정보
- 재난/민방위/안전
- 자연재난
- 지진
자연재난
지진 발생시 행동요령

지진 직후의 행동 (흔들림이 있을 경우)
지진 직후의 행동 (흔들림이 있을 경우)- 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행동합시다, 창문유리나 담벼락에는 접근 금지, 침착한 불 확인과 초기 진화, 서서히 차를 도로 오른쪽에 세웁시다 , 창문이나 문을 열어 탈출구 확보 , 신속히 엘리베이터에서 내립시다.몸을 보호하면서 침착하게 행동합시다 |
- 탁자 밑에 들어가서 탁자 다리를 잡고 몸을 보호합시다.
- 가방 등 소지품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계단이나 기둥 근처의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시다.
|
 |
가구, 창문유리 등 물건이 떨어져 다칠 수가 있습니다. |
창문유리나 담벼락에는 접근 금지 |
- 창문유리, 블록담장 등이 무너지면서 깔 릴 수 있으니 접근 하지맙시다.
|
 |
지진 시 많은 사상자를 내는 가장 큰 이유입니다 |
침착한 불 확인과 초기 진화 |
- 지체없이 불을 끄고 흔들림이 가라앉은 후까지 당황하지 말고 불단속을 합시다.(119신고병행)
|
 |
화재 연기는 생명위협! 소방차가 못 올 수 있습니다. |
서서히 차를 도로 오른쪽에 세웁시다 |
- 비상등을 켜고 속도를 서서히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 를 세우고 키를꽂아두고 대피합시다.
|
 |
도로의 중앙은 비상 및 응급차량이 다닐 수 있어야 합니다. |
창문이나 문을 열어 탈출구 확보 |
- 흔들림이 느껴지면 피난할 수 있도록 출입구를 열어 놓아 출구를 확보 합시다.
|
 |
문이 비뚤어져 갇힐 수가 있습니다. |
신속히 엘리베이터에서 내립시다. |
- 모든 층의 버턴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야외로 대피합시다.
|
 |
엘리베이터에 갇혀 탈출을 못 할 수 있습니다. |
지진 후의 행동 (흔들림이 끝난 경우)
지진 직후의 행동 (흔들림이 있을 경우)- 전기·가스 안전확인, 올바른 정보, 정확한 행동, 서로도와 구조·구호, 대 피전기·가스 안전확인 |
- 대피시에는 가스밸브를 잠그고 전기 차단기를 내리고 대피합시다.
|
 |
화재·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. |
올바른 정보, 정확한 행동 |
- 라디오, 텔레비전, 공공기관의 안내 방송 등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시다.
|
 |
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인한 심리적 동요가 일어 날 수 있습니다. |
서로도와 구조·구호 |
- 물건에 깔린 사람이나 부상자를 이웃과 서로 협력하여 구출·구호 합시다.
|
 |
구조대가 늦거나 못올 수도 있습니다. |
대 피 |
- 흔들림이 멈추면 신속하게 야외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시다.
- 자택, 사무실 등의 안전이 확인되면 실내로 들어가도록 합시다.
|
 |
무작정 야외에서 기다릴 수는 없습니다. |
민간소유 건축물 내진보강 관련 지방세 감면 안내
- 신청대상
- 내진설계기준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민간소유 건축물 중 내진보강을 실시한 건축물
- 내진설계기준이 적용되지 아니하는 민간소유 건축물 중 내진설계를 적용한 건축물
- 건축법 제48조에 따른 구조 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이 아닌 건축물
- 3층 미만이고, 연면적 500㎡미만 건축물
- 2015. 9. 22. 이전 건축허가된 건축물은 3층미만이고, 연면적은 1,000㎡미만
- 감면혜택(2018. 12. 31.까지)
- 건축을 하는 경우 : 취득세의 10/100 경감 및 재산세 납세의무 최초 성립일로부터 5년간 재산세의 10/100 경감
- 대수선을 하는 경우 : 취득세의 50/100 경감 및 재산세 납세의무 최초 성립일로부터 5년간 재산세의 50/100 경감
- 관련법령
-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7조의4(내진성능 확보 건축물 또는 주택에 대한 감면)
- 지진·화산재해대책법 제16조의2(민간소유 건축물의 내진보강 지원)